free counters

발경의 원리

조회 수 8386 추천 수 0 2009.02.14 20:45:33

중국의 무술에서 힘과 파괴력은 두개의 그룹 즉 내경(內勁)과 외경(外勁)으로 나누어진다. 이 것은 내가권(內家拳)과 외가권(外家拳)으로 나누어지는 무술의 구분과는 별개의 것임을 필히 유념하라. 이 내가권과 외가권은 격투시 내경과 외경이 격투시 활용되고 정련되는 접근 방식에 의해 구분되지만 이 두가지 정의는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한 사람이 오직 하나만을 선택하지도 않는다.

중국어의 일반용어에서 힘을 지칭하는 말은 '경(勁,Jing)'과 '역(力,Li)'이며, 이 두 단어는 흔히 혼용되고, 별 구별없이 사용된다. 단지 최근들어 '경(勁,Jing)'이라는 말이 '역(力,Li)'에 비해 좀더 원초적인 힘의 상징으로서 정련되고 효과적인 힘으로 구분될 뿐이다. 이 것은 무술의 배경안에서만 이런 식으로 이해될 뿐 그 외의 일반적 상황에서는 역시 별 구분없이 사용된다.

( 역자 주 : 중국어에서 '경(勁,Jing)'과 '역(力,Li)'은 사실상 같은 의미로서 '힘'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단지 무술 쪽과 관련지어 이야기 할 때에만 '경(勁,Jing)'이 좀더 특별한 의미를 갖는 다는 것이죠. )

** 경(勁,Jing)

중국 격투기에서 언급되는 경(勁,Jing)은 조화(a coordinated)이며, 뿌리내림이고, 효과적인 힘의 집중이다. 이런 종류의 힘에 대한 명백한 정의는 이역여(Li I Yu)의 5개의 단어 공식에서 발견된다. 이 점에 있어서, 경(勁,Jing)은 여전히 내적인 혹은 외적인 타입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勁,Jing)의 정의는 내가와 외가 양쪽의 무술에서 모두 적용된다.

올바른 경(勁,Jing)의 발생을 위한 몇가지 전제 조건들이 있는데, 그 것은 다음과 같다. :

( 역자 주 : coordinated의 의미에 둘이상의 근육계를 사용한다...는 뜻도 있군요. )

** 뿌리내림
올바르게 생성되는 힘을 위해서는, 그것의 반발력에 대해 버틸 수 있는 기초가 필요하다. 많은 무술에 있어 Pile Standing(참장?)이 강조되는 것은 신체의 무게중심을 낮춰 안정성을 확고히 하고 무게중심으로부터 지면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으로 힘을 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 것은 무게 중심이 먼저 무술을 수행하는 사람에 의해 확실히 인지되어야 하고 분명히 구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효율적인 자세로 서서 최소한의 힘으로 강한 버팀이 되어 내리 누르는 것이다. 신체의 중심에 얼추 대응되는 단전(丹田,Dan Tian)에 기(氣,Qi)를 내리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도와 준다.

** Coodination
   ( 우리말에 대응되는 적절한 단어를 모르겠군요.  일단은 '조화'로 번역합니다. )
신체에서 서로 다른 관절과 근육은 반드시 조화롭게 움직여야 함께 힘을 만들어내고 효과적으로 몸 전체를 움직일 수 있다. 관절이 근육과 함께 적절하게 움직여지지 않으면, 근육은 긴장하고 조화에서 오는 힘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조화는 또한 호흡과 함께 몸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효과적인 자세와 신체의 중심을 잘 활용하는 조화는 힘이 제 길을 따라 적절히 흘러갈 수 있도록 해준다.
단전(丹田,Dan Tian)의 중요성은 뿌리내림과 힘을 발휘하는 원천(origin point)일 뿐만 아니라 또한 기(氣,Qi)가 모이고 방출되는 지역이라는 데에도 있다.

** 정렬
신체의 뼈들이 적절히 정렬되면 힘이 집중되어야 할 타격점에서부터 버티고 선 지면까지 힘이 전달되고 공급될 수 있는 바른 길이 트이는 자세가 이루어진다. 또한 뼈가 반작용에 의한 충격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근육조직 또한 효과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 집중
위에 서술한 3개의 사항들(뿌리내림, 조화, 정렬)이 잘 이루어져도 충분한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집중은 신체의 모든 잠재력이 모이는 한 점이다.

위의 4가지 사항들을 적절히 준수하며 경(勁,Jing)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은 곧 발경(發勁, Fa Jing) 혹은 경(勁,Jing)의 방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경(發勁, Fa Jing)은 내가권(內家拳, internal martial arts)이나 외가권(外家拳, external martial arts) 모두에 존재하며 간단히 말해 힘의 방출을 의미한다. 그 것은 태극권(太極拳,Taijiquan)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그 자체로 거대한 힘일 뿐만 아니라 작은 힘으로 큰 위력을 발휘하는 효과이다. 물론 발경(發勁, Fa Jing)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태극권이나 기타 다른 무술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발경 만으로 이루어진 무술 또한 없다. 발경(發勁, Fa Jing)이 언제 어디서 적절히 쓰이는가 하는 것은 무척 매우 중요하다. 적절치 않게 사용된 발경(發勁, Fa Jing)은 재난이나 마찬가지다.

** 외경(外勁, External Jing)
외경(外勁, External Jing)은 곧 3가지 외적 요소들 즉 근육조직, 뼈, 피부에 의해 이끌어져 나온다. 이러한 종류의 경(勁, Jing)은 근육의 활동과 뼈의 견고함, 그리고 피부의 강인함(toughness)에 의해서 발생되고 전달된다. 이 것은 강한 물리적 충격과 물리적 단련을 통해 이루어진다.

내경(內勁, Internal Jing)은 3가지의 내적 요소 즉 정(精,Jing), 기(氣,Qi), 신(神,Shen)에 의해서 이끌어져 나온다. 이러한 종류의 경(勁, Jing)은 정(精,Jing)의 강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정(精,Jing)은 기(氣,Qi)의 정제에 의해 보급되고, 기(氣,Qi)는 외적요소(근육, 뼈, 피부등의 조직)와 신(神,Shen)이 자리한 마음 양쪽을 키운다.

( 역자 주 : “마음으로서 기를 행하고(以心行氣) 기로써 몸을 움직여라(以氣運身). 정을 단련시켜 기로 화하고(鍊精氣化), 기를 단련시켜 신으로 화한다(鍊氣化神).”라는 말과 함께 생각하면 좋을 듯 싶군요. )

육체의 정(精,Jing/essence)은 풍부한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정련되는 것이다. 이 것은 기(氣,Qi)로 다듬어져 근육조직, 뼈 등의 생체 조직 뿐 아니라  정신(mind)에까지 필수적인 생명력을 공급하고 먹여살리는 역할을 한다. 기(氣,Qi)는 전통적인 중국 의학 이론에 있어 생명의 기본이며 기(氣,Qi)가 많고 적고에 따라 신체의 건강과 활력이 결정되어 진다고 믿어졌다. 기(氣,Qi) 그 자체는 정신과 영혼(Mind/Spirit)에 의해 움직임의 방향이 정해지고 정신적 능력 또한 기(氣,Qi)에 의존한다고 한다.

신(神,Shen/Spirit)은 생각, 지식, 느낌과 마음의 목적(정신이 집중되는)이 표출되는 것이다. 강한 신(神,Shen)은 명쾌한 사고, 날카로운 지각, 보다 더 나은 의도(意)를 불러일으키고, 그 것은 무술과 관련된 것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서 유용한 장점이 된다. 어떠한 의도는 생리학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그 것은 피와 기(氣,Qi)의 길을 열어 정신이 집중된 곳으로 흐르게 한다. 이 것은 마음이 이끌고, 피와 기(氣,Qi)가 뒤따른 다는 말이다.

이러한 순환이 계속되고 기(氣,Qi)가 흐름으로써, 근육조직은 보다 더 나은 장력을 얻고 내공(內功,Nei Gong/Internal Work)의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경험되는 느낌으로 ‘가득 채워지는’ 결과를 얻는다. 이렇듯 증가된 장력과 점착력은 내경(內勁,Internal Jing)의 근본이 되어준다. 그 것은 내경(內勁,Internal Jing)에게 ‘추진력’과 ‘수압’같은 특성을 제공한다. 증가된 기(氣,Qi)의 흐름은 마음에 의해 방향이 결정되고 내경(內勁,Internal Jing)의 생성을 이루어낸다. 근육조직은 과도한 긴장 상태가 사라지고 이완된 채로 남는다.

내경(內勁,Internal Jing)은 힘을 거침없이 상대에게 전달하지만, 상처를 입힐 정도로 큰 타격을 주지는 않는다. 이러한 힘의 전달은 상대의 신체와 구조 안으로 파고들어 밖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상처를 입힐 수 있다.

명경(明勁,Visible Jing)
명경(明勁,Visible Jing)은 또한 밍징(Ming Jing,중국식 발음)이라고도 불리운다. 사용될 때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경(勁,Jing)을 의미한다. 이 것은 팔다리와 힘의 집중점이 움직이는 것이 물리적으로 드러나 보인다. 어떤 사람은 또한 이를 통해 경(勁,Jing)이 강건하거나(硬勁/Ying Jing 혹은 剛勁/Gang Jing) 부드러움을(柔勁/Rou Jing) 구별하기도 한다.

암경(暗勁, An Jing/Hidden Jing)
명경(明勁,Visible Jing)과는 반대인 암경(暗勁, Hidden Jing)도 있는데 이 것은 또한 안징(An Jing, 중국식 발음)이라고도 불리워진다. 명경(明勁,Visible Jing)이 쉽게 관 찰되는데 반해 암경(暗勁, Hidden Jing)은 구별하기가 어렵다. 이 것은 외적으로 표출되는 모습보다는 신체 안에서 발생하는 내적인 힘의 흐름에 근거한다. 탱탱볼 안에 든 공기의 흐름처럼 그 것은 분명 존재하나 접촉을 통한 반작용을 일으킬 때조차도 가시적으로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누군가가 암경(暗勁, Hidden Jing)을 사용해 접촉한다
해도 그의 동작이나 집중점은 내적인 힘의 흐름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강경(剛勁/Gang Jing)
이 것은 집중점이 엄격하고 분명하게 드러나는 경(勁,Jing)이다. 그 흐름은 고정되어 있고, 단단함과 강건하게 대항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유경(柔勁, Rou Jing)
이러한 경(勁,Jing)은 집중점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융통성 있는 변화에 따라 부드럽게 대처하는 유연한 길을 가지고 있다.

외가권(外家拳, External Martial Arts)과 내가권(內家拳, Internal Martial Arts)  
내경(內勁,Internal Jing)을 사용한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내가권(內家拳)이라고 규정되어질 수 있을까? 외경(外勁,External Jing)을 사용한다고 해서 그냥 외가권(外家拳)이라고 규정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두 계열의 무술은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제멋대로 구별되어진 바가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 구분은 실전상 접근방식의 차이에 있다.

두 계열의 무술에 대한 구별이 가장 먼저 발견되는 것은 청나라 초기 Wang Zhen Nan의 저서이다. 여기에는 소림파(少林, Shaolin)의 무술을 외가권(外家拳)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이유는 기술의 초점이 적을 가격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삼봉(張三峰)에 의해 창시된 무당파(無當)의 무술을 내가권(內家拳)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그것이 부드러운 동작에서 즉각적인 힘을 상쇄시키는 방법으로 적을 물리쳤기 때문이다.
( 역자 주 : 무당의 창시자인 장 진인의 이름은 여러 문건마다 다른 차이를 보입니다만 여기서는 일단 張三峰으로 표기하겠습니다. )

후대에 가서, 소림에 근거를 두고 발전한 무술 학파들은 일반적으로 외가권(外家拳)이라 분류되었고 무당에 근거를 둔 무술 학파들은 내가권(內家拳)이라 분류되었다. 또한, 그들의 무술적 특성은 위에 서술한 외가의 체계와 상통하는 바가 있었고 특히 물리적인 고된 단련이 그들의 체계에서 특징 지워졌다. 내가의 체계역시 위의 정의에 서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부드럽고 조용한 체계로 구분되었다.
이렇듯 통속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분방식이 있지만 외가의 체계에서 내적 요소를 배제한다거나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외가(外家)의 체계로 분류되는 무술이라 해도 가끔은 내경(內勁)을 훈련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또한 내가(內家)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경(勁)의 사용법에 따라 양자를 구분하는 것은 적절치 못 하다.

** 경(勁)과 관련한 용어
이제 우리는 경(勁)과 그 것의 기본적인 형태에 대해 명확히 살펴보았다. 경(勁)의 특징과 그 것의 사용방식에 따라 그 것의 이름이 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것은 수없이 많은 다른 종류의 정의를 만들어내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모든 무술 체계를 하나로 아우르는 표준 체계는 아직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리경(Lu Jing, Rollback Jing)의 경우, 그렇게 이름이 붙은 이유는 경(勁)의 기본 형태가 구르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그 것은 해당 경력을 생성하는 방법이 물리적인 부분에 기인하지 않고 높은 수준의 암경(暗勁)에 해당하기 때문에 내경(內勁)의 하나로 간주된다.
( 역자 주 : 리경의 ‘리’에 해당하는 한자는 찾아내지를 못 했네요. 죄송합니다;; )

위의 예에서, '리(Lu)'라는 단어는 기술적인 면과 경(勁)의 사용법의 두가지 의미를 모두 참조하고 있다. 그렇듯 누군가 그러한 단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기술과 경(勁)에 대한 구별에 주의해야만 한다.

** 호흡의 중요성
모든 내가(內家) 관련 훈련에서 바른 호흡은 최고의 중요성을 가진다. 신체가 적절한 산소를 공급받고 호흡을 하는 동안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배출할 수 있게 보장해주는 것으로서 이 것은 또한 신체 안에서 많은 산소를 섭취하고 정신을 훈련하기에 적합한 내적 환경을 조성한다. 심호흡은 또한 체내 기관을 맛사지하고, 피와 림프의 흐름을 부드럽게 해주어 정(精, Jing/Essence)의 생성을 돕는다.

호흡은 그 자체가 힘의 발휘와 복잡하게 얽혀있다. 신체는 힘을 쓸 때 숨을 내쉬고, 그와 동시에 몸통의 근육조직을 움직이며, 몸 전체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내력 훈련을 위한 몇가지 연습
참장(Zhan Zhuang)
참장은 외가에서나 내가에서나 모두 기초훈련에 속하며, 그 것은 경(勁)을 생성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구축하는 특별한 방법이다. 정지된 참장은 무술을 수련하는 사람에게 있어 신체의 중심이 지면 위에 서서 바로 잡히게끔 그의 신체를 조율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것은 뿌리내림과 실전적 기술을 시전하기 위한 기초적 형태를 구성한다. 이 것은 몸을 이완시키고 가장 효과적인 자세를 찾을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한 신체의 조율은 몸 안에서 이루어지며 제3자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참장을 하면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조용히 서 있는 것(Stillness)은 보다 조화로운 움직임을 위해 근육의 긴장을 해소하고 이완을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또한 정신을 평온하게 함으로써 잡념 없이 이완된 집중과 효과적인 자세를 통한 이완된 신체, 그리고 신체적 불편으로부터 정신을 해방시켜 효과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조정한다. 호흡은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증가된 폐활량과 함께 긴장되기 보다는 이완된 신체를 통하여 되도록 훈련되어야 한다. 만일 몸이 긴장되면 폐활량은 줄고 에너지 소비는 늘고 근육의 피로는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이완된 호흡은 태극권의 움직이는 자세를 따라 함께 움직인다. 긴장 없이 잘 이완된 신체는 또한 혈액의 순환이 원활해지도록 돕는다.

어떤 참장 공법은 또한 맥(脈,meridians)에 있어서의 기(氣,Qi)의 흐름에 마음을 집중하는데, 첫 번째로 임맥(任脈, the Ren Meridians)과 독맥(督脈, the Du Meridians)에 의해 형성되는 신체의 순환 혈도를 따라 기를 이끈다. 이 것을 일컬어 소주천(小周天, the small microcosmic orbit / xiao zhou tian )라고 한다. 나중에는 팔다리로도 확장되는데 이를 일컬어 대주천(大周天, the large microcosmic orbit/da zhou tian)이라고 한다. 참장 연습을 하는 데에는 많은 자세가 있다고 여겨지며 각 무술 학파는 그들의 고유한 연습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세들을 통해 적절한 경(勁)을 이끌기 위한 마음의 집중을 할 수 있다.

정좌(靜坐,Jing Zuo)는 참장은 아니지만 같은 원리를 공유하는 비슷한 수행법이다. 와공(臥功, 누워서 하는 수행, Still Lying)또한 수평으로 자세를 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의 공법들과 유사하다.

동공(動功)과 행공(行功)
이 수행들은 가만히 서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외에는 참장과 거의 유사한 원리를 가진다. 비록 몸은 움직이더라도 참장에서의 유념하는 사항들은 그대로 지켜져야 한다. 태극권의 투로(套路, boxing set)는 이렇듯 움직이면서 내경을 수행하는 연습의 한 예이다. 이런 것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수행법이라서 참장으로 얻을 수 있는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내경을 일구어내는 것은 참장 쪽이 한결 쉽다.

신체의 움직임은 움직임 그 자체로 기(氣,Qi)의 흐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근육을 쭉 늘리면 기(氣,Qi)와 혈(血)의 흐름 또한 증가한다. 그 것은 또한 자세를 움직임으로써 경(勁)을 적절히 생성하고 효율적으로 집중시키는 훈련이 될 수 있다.


출처 -동선진식태극권총회 http://cafe.daum.net/dongsuntaichi/Dmpj/94  

profile 실천이 없으면 증명이 없고 증명이 없으면 신용이 없으며 신용이 없으면 존경이 없다.
엮인글 :
http://hanoian.org/index.php?document_srl=15693&act=trackback&key=2b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