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counters

태권도의 역사 3

조회 수 6132 추천 수 0 2005.03.28 02:20:04

자랑스런 전통 문화 유산이 세계의 스포츠 꽃으로 개화
자기 방어 동작에서 비롯돼
수 천년에 걸쳐 흥미진진한 긴 역사를 가진 태권도는 분명히 한국 고유의 전통무도이자 스포츠이다.

그 기원은 자그마치 한국 역사의 4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 까마득한 옛날의 태권도는 야생 동물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일종의 자기 보호 수단이었다.

즉 다시 말해, 야생 동물의 공격이 불시에 어느 방향에서 행해질지 모르기 때문에 반사적으로 즉각 그 공격을 막아낼 수 있는 민첩한 동작의 개발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거의 본능적으로 자기 방어 동작을 수련하게 되었고, 그 과정을 거쳐 현대 태권도의 기본인 막기·차기·지르기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의 태권도와 비슷한 무예의 형태와 발자취를 삼국시대에서부터 확실하게 발견할 수가 있다. 고구려 시대(37B.C~668A.D)의 고분 벽화에 '태권도의 겨루기를 하고 있는 두 젊은이'가 선명하게 그려져 있는 것이다. 이 벽화가 있는 무용총 고분은 A.D 3년부터 427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던 환도성(현대 만주 통화성 집안현 통구)에 있으므로 인도의 달마 스님이 중국에 오기 훨씬 전에 이미 우리나라는 고유의 무도를 발전시켜 왔음을 증명해 준다.

이 벽화를 보면, 한 젊은이는 왼쪽을 향하며 왼손으로 몸 중심을 방어하는 자세를 취하고, 상대방은 왼쪽 손을 뻗어 공격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 밖의 다른 고구려 벽화에서는 오늘날의 태권도 도복 및 띠와 아주 흡사한 수련복을 입은 사람들의 그림도 발견할 수 있다. 그 그림의 주인공들은 머리를 방어하기 위해 왼손을 들어 얼굴막기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그 얼굴막기와 오른손아래막기는 현재의 태권도에서도 모두 사용되는 겨루기 자세이다. 백제 시대(18B.C~660A.D)에서도 왕실의 지원으로 무예가 장려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기록에 따르면, 말등타기, 궁술, 맨손격투기 등이 당시의 군사들이나 평민간에 대단한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되어있다. 특히 '손과 발 두 가지를 사용하는 호신술이 널리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는 걸 보면, 백제 시대에도 오늘의 태권도가 비슷한 고유의 무예가 존재했다는 확신을 갖게 해준다.

신라 때 최고 경지에 이르러
신라 시대(57B.C~936A.D)에는 우리의 무예가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정복,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룩한 신라의 원동력은 진흥왕이 창도한 군사적, 교육적 사회 조직인 화랑도에 있었다. 화랑도는 귀족의 자제들로서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아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상무정신(尙武精神)이 그들의 신조였으며, 그것은 신라의 도덕정신과 국력의 근원이 되었다.

즉 화랑도는 세속오계인 사군이충 · 사친이효 · 교우이신 · 임전무퇴 · 살생유택을 철저히 지켰다. 이 세속오계는 한국 전통무도의 철학적 배경이기도 하다.당시 화랑도는 수박도(手拍道)라는 맨손격투기 등 몇 가지 호신 무예를 익혔다.

특히 수박도는 아주 효율적이고 전투적인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이 맨손격투기는 신체 단련과 군사 훈련 및 레크리에이션으로 화랑도들에게 장려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태권도는 발전되고 오늘에 이른 것이다.화랑도들이 실천한 세속오계의 정신을 오늘의 태권도인들도 철학적 정신으로 받아들이는 게 좋을 것이다.

고려 시대에도 폭발적인 인기
고려 시대(918A.D~1392A.D)에 이르러 맨손격투는 더욱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그 때에도 수박도라고 일컬었는데, 무예로서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규칙을 가진 스포츠로서 행해졌다.

매년 왕실의 지원 하에 시합과 시범 경기가 열렸으며, 기술의 진보를 위해 과학적인 연구가 거듭되었다. 따라서 수박도는 국민적인 무술과 스포츠 ·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서기 1392년 조선왕조가 들어서자 체력 단련 · 군사 훈련 등에 관한 관심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태조(太祖)는 국교였던 불교를 유교로 바뀌었고, 따라서 지배 계층의 인생관 및 정치 · 문화관까지 모두 유교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양반들은 중국 고전이나 읽고, 육체적으로 힘드는 활동은 오로지 상놈들만이 하게 되었다. 그러니 태권도(당시에는 태껸이라 불렀다) 같은 무예는 인기를 잃었으며 당연히 그 기술은 퇴보하게 되었다.문관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무관보다 우위에 있었으므로 무예니 무도니 하는 것은 말 그대로 거의 질식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지나친 얘기는 아니었다. 그러나 다행하게도 몇 세기가 지난 후 정조(正祖) 임금이 우리나라 고유의 무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1790년 정조는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濟家)에게 우리 나라의 무술 전반에 걸쳐 다룬 교재를 편찬토록 하였는데, 그 속에 맨손격투기를 삽입토록 지시하였다. 그래서 출간된 것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이며, 이 책은 현재 한국 무예의 중요한 초기 고전으로 평가되고 있다.목판 인쇄본으로 된 40여 페이지 분량의 이 책의 내용과 그림들은 당시 한국무예의 실상을 비교적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일본 가라데 · 중국 무술 등 난입
1909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의해 멸망하지 군사 훈련 등의 무술 훈련은 더욱 더 어렵게 되었다. 일본 총독부는 한국의 주체적인 힘을 억압하기 위한 전략으로 집단 스포츠, 무예 또는 기타 모든 문화 활동을 엄격히 규제 · 탄압하였다. 따라서 한국 무예 역시 몇몇 사범들의 비밀 지하교습을 통해 겨우 명맥을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

바로 이 시기에 일본의 가라데와 중국 무술이 소개되었다. 수박도와 태껸 사범들의 한국형 무술에 외국형 기술을 발전적으로 첨가시켰다. 이른바 중국의 소림사 무술과 일본의 가라데를 추가 · 혼합시킨 것인데, 이 새로운 형을 당수 또는 공수도라고 불렀다.

1945년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자 태권도의 발전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대다수의 뜻 있는 사범들이 일제하에서 파생된 다양한 형태의 한국 무예를 개선 · 단일화시켜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즉 외세의 영향으로 변질된 무술들의 난립을 우리의 전통적인 한국형 맨손격투기로 재정립·통일시켜 국가적인 스포츠로 발전시키자는 데에 의견을 같이하게 되었다.

당시에는 서울에서 청도관 · 조선연무관 · 무덕관, 개성에서 송무관 등이 활발히 움직이고 있었다. 그들은 1946년 7월경 서울의 田祥燮, 李元國, 尹炳仁과 개성의 盧秉直 등이 주동이 되어 산재한 도장들을 총괄하는 협회부터 결성코자 2,3 차 화합을 가졌으나 실패하고, 일단 한국 무도의 표준형과 통일된 지도방법에 합의를 보았다.

그리하여 5, 6년간 각자의 후배만을 육성하고 있던 중 뜻하지 않은 민족의 비극6·25 동란이 터져 온 나라가 전란의 재화에 휩싸이는 비운을 겪게 되었다. 그러자 태권도계도 예외일 수 없이 여러 지도자들이 남북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으나 그 중에서 임시수도 부산에 와 있던 李鐘佑, 盧秉直, 黃琦, 玄鐘明, 曺寧柱, 金仁和 등이 주축이 되어 의욕에 찬 대한공수도협회라는 간판을 내걸었다.

거듭된 단합과 분열, 태권도계 표류
그러나 1개월도 채 안되어 黃琦가 탈퇴했으며, 그는 서울 환도 후 당수도협회를 조직해 가지고 대한체육회에 가입하려다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부산에서 발족된 공수도협회의 그 당시 회장은 李重宰, 부회장은 閔寬植이었다.

그런 한편, 청도관을 중심으로 또 하나의 단체가 결성되었는데, 그 명칭은 태권도협회로서 첫 회장에 崔泓熙 육군소장, 부회장에 尹快炳, 盧秉直, 이사장에 黃琦가 선임되었다.이와 같이 유사단체가 난립한 가운데 5 · 16 혁명을 맞았다.

국가재건최고회의가 포고령 제6호를 내려 사회단체 재등록을 명(命)함으로써 문교부는 1961년 7월 12일자로 공문을 보내 대한수박도회 · 공수도송무관 · 강덕원무도회 · 한무관중앙공수도장의 대표들을 소집해 놓고 통합을 주선했으나 명칭 문제로 결론이 나지 않자 옵서버로 참석했던 李鐘佑가 중재에 나섰다. 결국 嚴雲奎, 李南石, 李鐘佑가 崔泓熙에게 타협안을 내놓음으로써 '대한태수도협회'로 낙찰을 보게 되었다.

마침내 9월 14일 통합창립위원회를 구성하고 그 업무 추진을 7인위원회에 위촉했다. 9월 19일에는 이사회를 조직하고 임원진을 구성, 대한태수도협회가 공식 출범을 했는데, 회장은 공석, 부회장에는 嚴雲奎, 李鐘佑가 선임되었다.62년 6월 25일 대한체육회에 가입하고, 10월 5일 사무실도 그곳으로 이전한 대한태수도협회는 그 다음해인 63년 6월 24일 임원을 개선, 회장에 蔡命新, 부회장에 李鐘佑, 전무이사에 嚴雲奎가 선임되었는데, 65년 8월 5일에 와서 대한태수도협회는 대한태권도협회라는 명칭으로 개칭하게 되었다.

金雲龍 등장, 태권도계 정립 ·활기
그로부터 대한태권도협회는 66년 1월 30일 회장에 盧秉直, 부회장에 嚴雲奎, 배영기, 김영택, 67년 1월 30일 회장서리에 金鎔采, 부회장에 盧秉直, 이강익, 68년 1월 회장에 김용채, 부회장에 嚴雲奎, 이강익 69년 1월 12일 회장에 김용채, 부회장에 嚴雲奎, 李南石으로 이어져 왔으며, 태권도가 매년 개최되는 전국체전에 정식 종목으로 참가한 것은 64년 9월 제 45회 대회부터였다.

그 외에도 63년부터 매년 5, 6회 이상의 태권도 경기 대회가 개최되어 왔는데, 66년부터는 대통령기 쟁탈 전국단체대항 태권도 대회(10월 28일), 68년부터는 주한 외국인 개인선수권대회96월 16일), 70년부터는 전국초등학교 태권도 개인선수권대회(10월 24일)와 함께 여자부 태권도 선수권대회가 열광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같이 태권도가 각계 각층의 호응을 받으며 확산되고, 온 국민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자, 군에서도 그 우월성과 국방체육으로서의 가치를 인식, 정식수련 종목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실제로 월남전 등에서 참전 용사들이 태권도 기술을 이용, 실전에서 맹위를 떨치자 한국 태권도는 세계적인 관심거리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71년 급기야 태권도는 무도 스포츠로서 그 가치와 우월성을 인정받아 우리나라의 국기로 지정되었다.그런 가운데 1971년 1월, 드디어 온 태권도계에 활력을 불어 넣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왔다. 다름 아닌, 다방면에 전천후적인 능력과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하며 정력적인 활약으로 명망이 높던 金雲龍 현 국기원 원장이 대한태권도협회의 7대 회장으로 취임한 것.

그 해로 그는 그의 첫 공약 사업이자 모든 태권도인들의 간절한 염원이 중앙도장 건립에 착수, 바로 그 다음해인 1972년 11월 30일 감격적인 개관 테이프를 끊음으로써 한국 태권도 역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놓았다. 그리고 73년 2월 6일 중앙도장을 태권도의 전당 '국기원'으로 명명(命名). 그 곳을 구심점으로 우리의 태권도는 국내는 물론 지구촌 어디에서나 자랑스럽고 영광스런 빛나는 발자취를 남기며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 스트레칭체조의 효과적 방 Master Ryu 2005-03-31 6309
12 태권도를 위한 스트레칭 Master Ryu 2005-03-31 6273
11 태권도와 운동 상해 Master Ryu 2005-03-31 6678
10 스포츠는 몸에 나쁘다 -카토쿠니히코 Master Ryu 2005-03-31 5770
9 마라톤 특강 Master Ryu 2005-03-31 5748
8 美 로이진 교수가 쓴 ‘생체나이 고치기-‘달력나이’보다 젊어지는 78가지 방법들’ Master Ryu 2005-03-31 5762
7 태권도 정신 Master Ryu 2005-03-30 8181
6 태권도지도의 기초 Master Ryu 2005-03-28 7131
5 태 권 도 의 역 사 Master Ryu 2005-03-28 6304
4 태권도의 역사 4 Master Ryu 2005-03-28 6374
» 태권도의 역사 3 Master Ryu 2005-03-28 6132
2 태권도의 역사 2 Master Ryu 2005-03-28 6316
1 태권도의 역사 1 Master Ryu 2005-03-28 5733